월급 명세서를 받아보면 실제 급여(세전)와 통장에 입금되는 금액(세후)이 다른 것을 보시게 되는데, 그 이유는 급여에서 4대 보험료와 소득세 등 다양한 공제 항목이 차감되기 때문입니다. 
매년 바뀌는 세법과 보험료율 때문에 정확한 실수령 금액을 파악하기란 쉽지 않은데요. 
본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 급여 구간별 실수령액을 알려드리며, 복잡하게만 느껴졌던 공제 항목들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또한, 단순한 계산을 넘어 실수령액을 조금이라도 더 늘릴 수 있는 현실적인 팁까지 함께 제공하여 여러분의 똑똑한 재테크 생활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payroll-tax-급여실수령액계산

2025년 급여 실수령액 공제 항목 및 계산 방법

급여 실수령액은 세전 급여에서 각종 세금과 4대 보험료를 제외한 실제 지급액을 의미합니다. 이 공제 항목들은 단순히 금액을 차감하는 것을 넘어, 우리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사회보장 제도이기도 합니다. 지금부터 각 공제 항목의 의미와 계산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4대 보험료

4대 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통칭하는 것으로, 소득 활동을 하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사회보장 제도입니다. 이 중 산재보험은 전액 사업주가 부담하므로, 근로자의 급여에서 공제되는 항목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세 가지입니다.


  • 국민연금: 노후 생활 안정을 위한 연금입니다. 2025년 기준,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기준소득월액의 4.5%씩(총 9%) 부담합니다. 기준소득월액은 상한액과 하한액이 정해져 있으며, 2025년 기준 상한액은 5,900,000원, 하한액은 370,000원으로 조정될 예정입니다.

    • 계산법: (세전 급여 × 4.5%)


  • 건강보험: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진료비 부담을 덜어주는 보험입니다. 2025년 기준 보험료율은 2024년과 동일한 7.09%로 동결될 가능성이 높으며,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3.545%씩 부담합니다.

    • 계산법: (세전 급여 × 3.545%)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 가입자라면 의무적으로 가입되며,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으로 인해 장기요양 서비스가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제도입니다.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의 일정 비율로 부과됩니다. 2025년 장기요양보험료율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나, 2024년 기준 12.95%입니다.

    • 계산법: (건강보험료 × 12.95%)


  • 고용보험: 실업 시 재취업 활동을 지원하고, 실업급여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 기준, 실업급여 보험료율은 2024년과 동일하게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0.8%씩(총 1.6%) 부담합니다.

    • 계산법: (세전 급여 × 0.8%)


2.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소득세는 소득에 따라 부과되는 국세이며,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를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하는 지방세입니다. 이 두 세금은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라 결정되며, 부양가족 수와 자녀 수에 따라 공제액이 달라지므로 같은 급여를 받더라도 실수령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국세청에서 매년 발표하는 표로, 월급여액과 공제 대상 가족 수에 따라 납부해야 할 소득세가 미리 정해져 있습니다. 이 금액은 매월 원천징수되며, 다음 해 2월 연말정산을 통해 정확한 세액을 정산하게 됩니다.


3. 급여 구간별 실수령액 및 공제액 분석 (2025년 최신 기준)

아래 표는 2025년 기준, 부양가족 1인(본인)을 기준으로 한 예상 급여 실수령액입니다. 실제 실수령액은 개인의 공제 항목(비과세 급여, 부양가족 수, 공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세전 급여 국민연금 (4.5%) 건강보험 (3.545%) 고용보험 (0.8%) 소득세 (간이세액)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총 공제액 예상 실수령액
200만원 90,000 70,900 16,000 19,000 1,900 197,800 1,802,200
300만원 135,000 106,350 24,000 50,000 5,000 320,350 2,679,650
400만원 180,000 141,800 32,000 102,000 10,200 466,000 3,534,000
500만원 225,000 177,250 40,000 177,000 17,700 636,950 4,363,050
600만원 265,500 212,700 48,000 275,000 27,500 828,700 5,171,300
700만원 265,500 248,150 56,000 387,000 38,700 995,350 6,004,650

* 주의 : 위 표는 2025년 예상치이며, 실제 수치는 국세청 및 각 기관의 발표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4.실수령액 계산기


결과가 여기에 표시됩니다.


5. 내 월급 실수령액을 높이는 꿀팁!

공제 항목은 법적으로 정해져 있지만, 연말정산을 통해 세금을 환급받거나 절세 혜택을 활용하여 실수령액을 간접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 연말정산 꿀팁 : 월세 세액공제, 주택담보대출 이자 소득공제, 신용카드 및 현금영수증 공제, 개인형 퇴직연금(IRP) 및 연금저축 계좌 납입액에 대한 세액공제 등 다양한 공제 항목을 꼼꼼히 챙겨서 환급액을 극대화하세요.


  • 비과세 급여 활용 : 식대, 자가운전 보조금, 연구 보조비 등 비과세 급여 항목이 있다면 세전 급여에 포함되지 않아 세금 및 보험료 공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회사의 복지 제도를 적극적으로 확인하고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월급 실수령액은 단순히 급여에서 세금을 제외한 금액이 아니라, 우리의 노후와 건강, 그리고 혹시 모를 실업에 대비하는 중요한 사회적 안전망의 비용입니다. 2025년 최신 공제 항목과 계산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연말정산과 비과세 혜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똑똑하게 재정을 관리한다면 매달 통장에 찍히는 금액을 조금이라도 더 늘릴 수 있을 것입니다. 자신의 월급 명세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변화하는 정책에 관심을 가지는 것만으로도 재정적 자립에 한 발짝 더 다가설 수 있습니다.


관련 정보 및 참고 사이트